2025년 5월 28일,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시민들의 출퇴근길에 큰 혼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교통 불편 최소화에 나섰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하철 증편 시간표와 무료 셔틀버스 정보, 그리고 서울시의 전체 대응 전략을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지하철 증편 운행 계획
서울시는 지하철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운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증편 횟수
- 일일 총 173회 증편
파업 기간 동안 서울 지하철 1~9호선의 혼잡 시간대에 총 173회 운행이 추가됩니다.
🔹 혼잡 시간대 연장
- 오전 출근 시간: 07:00 ~ 10:00 (기존 대비 1시간 연장)
- 오후 퇴근 시간: 17:00 ~ 20:00 (기존 대비 1시간 연장)
🔹 막차 시간 연장
- 새벽 2시까지 운행: 늦은 시간 퇴근이나 이동이 필요한 시민을 위해 심야 운행 연장 시행
🚌 무료 셔틀버스 운행 정보

🔸 운행 개요
- 총 625대의 무료 셔틀버스
- 117개 노선 운영
- 서울시 25개 자치구 주요 지역 – 지하철역 간 연결
🔸 시간대
- 출근 시간: 오전 06:30 ~ 09:30
- 퇴근 시간: 오후 17:00 ~ 20:00
🔸 셔틀버스 노선 확인 방법
- 서울시 교통정보센터 TOPIS
- 각 자치구청 홈페이지 및 블로그
- 120 다산콜센터(☎ 120)
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총정리


서울시는 교통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대응책을 마련했습니다.
✅ 1. 교통 수단 집중 운영
- 지하철 집중 배차 및 심야 연장
- 셔틀버스 투입으로 취약지역 보완
- BRT 및 간선버스 노선에 대체운행 차량 추가 투입
✅ 2. 대체 교통수단 안내 강화
- 공공 자전거 ‘따릉이’ 24시간 운영
- 카풀·택시 수요 증가에 대비한 협업 강화
✅ 3. 실시간 정보 제공
- TOPIS, 서울시 앱, SNS 통해 실시간 정보 제공
- 긴급 안내 문자 및 언론 브리핑
✅ 4. 시민 협조 유도
- 출퇴근 시간대 탄력 운영 장려
- 필수 외출 외에는 이동 자제 요청
💡 교통 이용 팁
- 출근 시간을 30분 앞당기거나 늦추면 혼잡 회피 가능
- 공공 자전거·공유 킥보드 활용도 추천
- 카카오맵·네이버지도 등 교통 앱으로 실시간 혼잡도 확인
이번 서울 시내버스 파업은 예고된 사안이었지만, 막상 시작되니 시민 불편은 불가피합니다. 서울시가 내놓은 비상수송대책은 그나마 숨통을 틔우는 조치이며, 최대한의 활용이 필요합니다.
부디 이번 포스팅을 통해 여러분의 이동 계획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